효율적인 개인소득세 예납 방법

23년도 개인소득세 보고 후 계산된 세금을 모두 납부하였는데 최근에 또 다시 CRA로부터 세금을 납부하라는 고지서를 받고 당황하는 경우가 종종 있을 것이다. 그동안 소득세 예납을 한번도 해본 적이 없는 납세자의 경우 더더욱 그럴 것이다. 8월 말쯤이면 CRA에서는 9월 15일과 12월 15일자에 납부해야 하는 예납 금액이 표기된 고지서를 우편을 발송 한다. CRA는 보통 은행 이자율보다 4% 높게 이자율을 책정해서 벌금을 … Read more

미국에서 발생한 소득을 가진 캐나다 거주자, 캐나다에 거주하는 미국 거주자의 2024년 미국 및 캐나다 세금 보고

미국에서 발생한 소득을 가진 캐나다 거주자, 캐나다에 거주하는 미국 시민권자, 미국과 캐나다 국가간 왕래하는 개인들의 미국 소득 세금 보고 문제들을 알아본다.   미국 소득세 납세자: 미국 시민권자 또는 미국 거주자(Green Card 소지자)는 해외에 계속 체류하더라도 미국에서 전세계 소득을 세금 보고할 의무가 있다. 미국 비거주자 (미국 시민권자나 또는 미국 거주자(Green Card 소지자)가 아닌 경우)는 미국내에서 발생한 … Read more

BC주의 근로기준

BC Employment Standard   BC주에서 고용과 관련하여 고용주와 고용인 모두 알아야 할 사항들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도록 하겠다.   직원 고용시 B.C.주에서 새 직원을 고용할 때 고용주는 다음과 같은 책임이 있다. 새 직원과 고용계약이 체결됨과 동시에 직원으로부터 Social Insurance Number (SIN)을받아야 한다. 만약 직원이 당장 SIN을 제공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카드 고용주는 직원에게 고용일로부터 3일 내에 알려주도록 공지해야 한다. … Read more

2024년 캐나다 비거주자의 부동산 매각 및 임대

 Non-Residents of Canada   캐나다에서 세무상 Non-Resident라 함은 1) 캐나다외의 다른 나라에서 통상적으로 거주하며 캐나다 거주자로 간주되지 않는 사람, 또는 2) 캐나다 내에 상당한 생활기반 (Residential Tie)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 캐나다외의 나라에서 거주한 사람 또는 – 캐나다에서 183일 미만 거주한 사람을 말한다.   캐나다 비거주자의 부동산 매각   1) 매도인이 해야 할 일: 매도인은 … Read more

단기임대와 관련된 세금문제에 대하여…

혹시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집의 단기임대를 통해 부가적인 수입을 올리고 있거나 앞으로 그러 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면 반드시 알아 둬야 할 중요한 사항들이 몇 가지 있다. 밴쿠버시는 AirBnB와 VRBO로 대표되는 단기임대업과 관련하여 사업자 라이센스를 반드시 발부 받아야 하며 온라인에 게재하는 모든 광고에 이 라이센스 번호를 명시하는 것을 의무토록 하고 있다. 이를 어길 시에 $1,000의 벌금을 부과된다.  또한 몇몇 스트라타 … Read more

지원이 왜 필요한지 합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대한민국 국회에 해괴한 법안이 제출되어, 또 한 번 정부측의 재의결 요구, 재 표결 등의 절차를 앞두고 있다. 8월 중에는 이 법안의 시행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민생회복지원금(전국민 25~35만원 지원)법’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와 법사위를 거쳐 본회의에서 통과될 예정이고 대통령은 그동안 수없이 많이 사용한 거부권을 또 한 번 행사할 것이다.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지 판단이 안된다. 언제까지 이런 악순환(입법-거부권 행사-재 표결-부결)을 국민들은 보고 있어야 하는가? … Read more

2024년 캐나다를 떠날때 (해외 이주) 세무상 고려사항

 [Leaving Canada (Emigrant)]   캐나다를 떠날 때 (해외 이주) 세무상 고려사항을 알아 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민자(Emigrant) 라 함은 다른 나라에 살기 위해 캐나다를 떠나며 캐나다와의 연대관계 (예: 다른 나라에 거주하기 위해 캐나다에 있는 집 처분등) 를 끊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해외이주를한 해의 캐나다 소득 보고 1) 해외 이주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해 전세계 소득을 보고해야 한다. 소득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될 경우에도 캐나다 세무서에 떠난 날짜를 알려주어야 한다. 2) 자산의 간주양도에 대해서는Form  T1243을 작성하여 개인 소득 보고서와 함께 4월 30일까지, 자영업자의 경우 6월 15일 까지 제출해야 한다. 3) 자산의 합계금액이 $25,000를 초과되는 경우, Form T 1161을 개인소득 보고서와 함께   4월 30일까지, 자영업자의 경우 6월 15일 까지 제출해야 한다. 다만, 현금(은행 예금 포함), RRSP,RPP,RRIF,DPSP및 개인 사용목적의 자산 가운데 시장가치 $10,000미만인 경우는 보고할 필요가 없다.   간주매각 캐나다에서 떠날 때 (해외 이주) 이주자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에 대해 간주 매각으로 간주한다. 본인의 자산을 이주 시점의 시장가치에 따라 매각한 것으로 간주하며, 같은 금액으로 재 취득한 것으로 간주한다. 간주매각에 의해 발생한 양도소득세는 “Departure Tax”라고 한다. 1) 간주 매각 제외 자산: 가) 캐나다 내에 위치한 부동산 나) 캐나다 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사업용 자산 (재고 포함) … Read more

2024년 신청자를 위한 캐나다 국민연금 혜택 (3)

(Canada Pension Plan Benefits)   캐나다 국민연금이 제공하는 혜택으로는 은퇴연금 (Retirement Pension), 장애연금 (Disability Benefits), 유족연금 (Survivor Benefits) 이 있다.   은퇴연금 (Retirement Pension) / Post-Retirement Benefit 은퇴연금은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에 따라 국민연금을 납부한 사람에게 지급하는 연금이다. Post-Retirement Benefit 은 70세 이하인 경우 은퇴연금을 받으면서 국민연금을 계속 납부하는 사람에게 지급하는 연금이다.   수령자격, 신청방법: 18세 이후에 … Read more

급여 vs 배당금: 사업주의 딜레마

사업주로서 회사에서 보상을 지급받을 때에 선택하는 방식에 따라 회사와 개인의 과세 소득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달라진다. 이번 글에서는 사업주가 급여를 받는 것과 배당금을 받는 것, 두 가지 선택지의 장단점 및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살펴보겠다.   급여 방식 사업주가 회사에서 받는 급여를 소득원으로 택하면, 이는 회사의 비즈니스 비용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회사는 월급을 지급함으로써 얻는 … Read more

정부는 국민의 상속권 자가 아니다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 라는 말과 ‘모든 국민은 조세와 관련하여 평등하게 취급되어야 하며 조세부담은 국민의 능력에 따라 공평하게 배분되어야 한다.’는 조세 평등의 원칙이 있다. 한국에서 종합부동산세와 상속· 증여세에 대한 개편 논의가 시작되었다. 빠르면 7월부터 국회 안팎에서 논쟁이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20~30년전 화폐가치로 세금을 부과하다 보니 대상자가 처음 법을 만들 때 예상을 하지 못한 많은 … Read more